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해킹이란? 종류와 실제 사례 소개

by 생활 속 이야기
반응형

해킹과 관련된 이미지

해킹이란?

해킹은 컴퓨터 시스템,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디지털 장치 등에 불법적으로 침입하여 보안을 우회하거나 무단으로 접근하고 제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해킹은 주로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수행될 수 있습니다.

  • 정보 탈취: 해커는 시스템에 침입하여 개인 정보, 금융 정보, 상업적 비밀 등을 탈취하거나 유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인 정보 도용, 금전적 손실, 신용 카드 부정 사용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시스템 파괴: 해커는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를 공격하여 데이터를 삭제, 수정 또는 파괴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기업의 업무 중단, 서비스 제공 중단, 시스템 복구 비용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불법 활동 지원: 해커는 해킹 기술을 사용하여 불법적인 활동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해킹을 통해 불법 소프트웨어나 해킹 도구를 배포하거나, 분산 거부 서비스(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DDoS) 공격을 수행하여 웹사이트나 서비스를 마비시킬 수 있습니다.

해킹은 이러한 악의적인 목적 외에도 보안 취약점을 발견하고 개선하기 위해 윤리적으로 수행되기도 합니다. 이를 '에티컬 해킹' 또는 '친화적 해킹'이라고도 합니다. 윤리적인 해커들은 조직이나 기업에 대한 허가를 받아 시스템을 검증하고 보안 취약점을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해킹'이라는 용어는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침입 행위를 의미하며, 이는 법적으로 처벌받을 수 있는 불법 활동으로 간주됩니다.

해킹의 종류

해킹은 다양한 종류와 방법이 있으며, 목표와 수행 방식에 따라 다양한 분류가 가능합니다.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몇 가지 해킹의 종류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 웹 해킹(Web Hacking): 웹 사이트나 웹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침입하고, 사용자 정보를 탈취하거나 시스템을 제어하는 공격입니다. 예를 들어, SQL 인젝션(SQL Injection),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Cross-Site Scripting, XSS), 크로스 사이트 요청 위조(Cross-Site Request Forgery, CSRF) 등이 웹 해킹에 흔히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 시스템 해킹(System Hacking): 운영 체제(OS)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침입을 목표로 하는 해킹입니다. 약점을 이용하여 관리자 권한을 획득하거나, 시스템 파일을 수정하거나 삭제하여 시스템을 제어하거나 파괴하는 공격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소셜 엔지니어링(Social Engineering): 사람들의 신뢰를 이용하여 정보를 얻거나 시스템에 침입하는 공격입니다. 사회적 기술을 사용하여 사람들을 속이거나 유인하여 비밀 정보를 노출시키는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사회 공학적 기법으로 사람에게 위장된 이메일을 보내 비밀번호나 개인 정보를 빼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 애플리케이션 해킹(Application Hacking): 특정 소프트웨어나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공격하는 것을 말합니다. 악용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취약점을 찾아내거나 조작하여, 예를 들어 악성 코드를 실행시키거나 인증 정보를 탈취하는 등의 공격이 이루어집니다.
  • 네트워크 해킹(Network Hacking):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공격을 의미합니다. 네트워크의 라우터, 스위치, 방화벽 등에 대한 약점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가로채거나 조작하는 등의 공격이 수행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무선 네트워크 해킹, 악성 코드 공격, 피싱 공격, Ransomware(랜섬웨어) 공격 등 다양한 해킹 종류가 있습니다. 각각의 해킹 종류는 다른 방법과 목적을 가지며, 보안 취약점을 이용하여 시스템 또는 정보를 악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해킹 종류별 실제 사례

다음은 각각의 해킹 종류에 대한 실제 사례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 웹 해킹(Web Hacking):
    • SQL 인젝션(SQL Injection): 2017년에 발생한 Equifax 데이터 침해 사고는 SQL 인젝션 공격으로 인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해커는 Equifax의 웹 응용 프로그램에서 취약점을 이용하여 약 1억 4700만 명의 개인 정보를 탈취했습니다.
    •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XSS): 2020년에 발생한 Twitter 해킹 사건은 XSS 공격을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해커들은 트위터의 관리자 계정에 침입하여 유명인들의 계정을 조작하고 비트코인 사기를 유도하는 게시물을 게시했습니다.
  • 시스템 해킹(System Hacking): WannaCry 랜섬웨어(Ransomware) 공격:
    • 2017년에 발생한 WannaCry 공격은 시스템 해킹과 랜섬웨어 공격을 결합한 사례입니다. 악성코드가 전 세계적으로 퍼져 수백만 대의 컴퓨터 시스템을 감염시키고, 파일을 암호화한 후 비트코인으로 금전 보상을 요구했습니다.
    • Sony Pictures 해킹 사건: 2014년에 발생한 Sony Pictures 해킹 사건은 북한 해커 그룹에 의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해커들은 Sony Pictures의 네트워크를 침입하여 대량의 기밀 정보를 유출하고, 영화 'The Interview'에 대한 위협을 제기했습니다.
  • 소셜 엔지니어링(Social Engineering):
    • Spear Phishing: 2016년에 발생한 DNC 해킹 사건은 소셜 엔지니어링 기술을 활용한 사례로 알려져 있습니다. 해커는 위장 이메일을 사용하여 미국 민주당의 고위 관계자들을 속여 개인 정보와 이메일을 탈취했습니다.
    • 사회 공학적 공격으로 인한 기업 해킹: 많은 기업들이 사회 공학적 기술을 사용한 공격의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해커들은 조직의 직원을 사칭하거나 위장하여 중요한 정보를 요구하며, 이를 통해 악성 코드를 전파하거나 기밀 정보를 획득하는 사례가 있습니다.
  • 애플리케이션 해킹 (Application Hacking):
    • Adobe Flash Player 취약점: 2015년, 이탈리아에서 유명한 해킹 팀인 Hacking Team의 데이터가 유출되었습니다. 해당 데이터에는 Adobe Flash Player의 취약점을 악용한 해킹 기술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이 취약점을 이용하여 해커들은 악성 코드를 실행하고 원격으로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었습니다.
    • Facebook OAuth 취약점: 2018년, 해커들은 Facebook의 OAuth(Open Authorization) 프로토콜에 취약점을 이용하여 대규모의 토큰을 탈취하고 액세스 토큰을 사용해 사용자 계정을 무단으로 액세스하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 네트워크 해킹 (Network Hacking):
    • Stuxnet 웜(Worm): 2010년에 발견된 Stuxnet 웜은 산업 시설을 대상으로 한 네트워크 해킹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 웜은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공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SCADA(산업 제어 시스템) 시스템을 통해 제어되는 중요한 산업 시설을 감염시킴으로써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조작했습니다.
    • Mirai 봇넷: 2016년, Mirai 봇넷은 수백만 대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를 타겟으로 한 대규모 DDoS 공격에 사용되었습니다. 이 봇넷은 약한 보안 설정을 가진 IoT 장치를 침입하여 제어하고, 이들을 다수의 공격 목표로 사용하여 웹사이트나 서비스를 마비시키는 사례였습니다.

이는 일부 예시에 불과하며, 해킹 사례는 수없이 많이 발생하고 다양합니다. 해킹은 계속 발전하고 변화하기 때문에, 실제 사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보안 대책의 강화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댓글


loading